본문 바로가기
세금

7월 31일까지 세금 돌려 받으세요! 재산세 알뜰하게 납부하는 방법

by 복지건강스토리 2023. 7. 25.

7월 31일까지 재산세를 내지 않으면 가산세 3%가 붙는 건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재산세를 조금이라도 아낄수 있는 꿀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건축물이나 항공기, 선박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정부에 내는 것이 아니라 시와 군에 내는 지방세에 해당합니다.

 

재산세 중에 주택과 건물은 7월16일부터 31일까지 납부하는 기간이고, 재산세가 20만 원을 초과하면 2번으로 나눠서 1기는 7월에 , 2기는 9월에 두 번으로 나눠서 납부합니다.

일단 내야 하는 세금이고, 7월을 넘기면 가산세 3%가 붙으니 조금이라도 아끼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가장 많은 세금을 내야 하는 종합소득세 같은 국세는 신용카드로 납부하면 상당히 큰 비율의 카드 수수료를 납부해야 하는데, 재산세는 신용카드로 결제해도 카드 수수료를 국민이 부담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단 재산세는 무조건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매년 7월에 재산세 납부를 앞두고 카드사별로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올해는 삼성카드만 빼고 모든 카드사에서 혜택이 있으니,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하시는 분들은 잘 활용하셔야 겠죠?

물론 응모를 해야 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번거로울 수 있지만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으니 꼭 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롯데카드

롯데카드는 지방세로 50만 원 이상을 결제하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2잔을 준다고 합니다(지급일 9월 1일)

물론 롯데카드로 결제하고 이벤트 응모를 해야 합니다.

재산세 50만 원은 부채와 무관하게 약 7억 원 정도의 주택을 소유한 경우라서,

서울에 거주하시는 상당히 많은 분들은 해당될듯합니다.

 

우리 카드

우리 카드는 지방세를 신용카드 일시불과 체크카드를 합산해서 50만 원 이상 결제 하면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 1장을 준다고 합니다. 물론 이것 또한 응모!

 

우리카드 재산세
모든 카드사 2~3개월 무이자 할부 가능

 

신한카드

신한카드는 개인 체크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하면, 납부 금액의 0.17%를 현금으로 캐시백 해줍니다.

(캐시백 지급일자는 8월 7일 예정)

 

국민카드

서울시와 계약을 맺고 KB PAY로 서울시 세금을 납부할 수 있는데, 세금 납부 회차별로 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추가로 KB 직장인 보너스 체크카드의 경우에는 지방세 10만 원 이상을 납부하면 7천 원을 할인해 줍니다.

 

카카오페이

이 방법이 지방세를 납부하는 가장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인데, 카톡으로 온 고지서에서 납부하기 버튼만 누르면 되고,

종이 고지서를 받은 분들은 고지서의 QR 코드를 찍어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에서 납부하면 천명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100명에게 신세계 상품권 5만 원 1명에게 페이포인트 100만 원을 주는 이벤트에 자동으로 응모됩니다. 

여기서 재산세가 70만 원 이상이라면 무조건 천 원을 지급합니다.

 

재산세 납부
카카오페이 재산세 이벤트

 

현대카드

마지막으로 현대카드에서는 카드 포인트로 재산세를 낼 수 있습니다. (M 포인트)

저 같은 경우는 현대카드 포인트가 너무 많이 쌓여 있어 이 방법으로 납부를 했습니다.

1.5포인트당 1원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포인트가 많아 처치 불가하신 분들 해당되겠습니다.

 

 

이러한 카드사 이벤트를 떠나서 모든 카드회사에서 2~3개월 무이자가 가능합니다!

재산세 내시는 분들은 대부분 신용카드 하나 정도는 가지고 계실 테니

오늘 내용 참고 하셔서 카드로 재산세 납부하시고 이때 꼭 응모를 해야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